본문 바로가기
심연, 수련, 정적, 승화

심연 8

by 짱2 2024. 8. 19.

사유

내가 나에게 줄 수 있는 거룩한 선물

 

 

나는 누구인가. 나는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나는 내 생각의 가감 없는 표현이다. 나의 얼굴, 몸가짐, 내가 처한 환경은 내 생각을 그대로 반영한다. 앞으로 다가올 미래도, 내 생각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그 미래는 조각가 앞에 놓여 있는 다듬어지지 않은 커다란 돌덩이다. 머릿속에 그려놓은 생각들을 어떻게 쪼아내고 갈고 다듬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조각품이 탄생할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이것은 나의 오랜 사유의 대상이었다. 나는 누구인지, 내가 왜 살고 있는지 궁금했다. 아마도 현재 내 삶에 자신감이 없는 탓이었을까? 이렇게 살아가는 것의 의미를 알 수 없었다. 사람들은 말했다. 사는 것에 무슨 의미가 있냐고. 그냥 사는 거지. 그냥 산다고? 그럼 안 살 수는 없는 걸까? 그렇다고 내 목숨을 스스로 끊어낼 수는 없지 않은가! 그리고 무언가 목적이 있어야 그 길이 좀 더 신나고, 좀 더 보람되고, 살만하지 않을까? 어떻게 내 삶인데 왜 사는지 이유도 모르고 목적도 없고 그냥저냥 살다가 간단 말인가! 아마도 그래서 성당을 다니고, 책을 읽었는지도 모르겠다. 저자가 말하는 사유의 폭이 넓고 깊지 못한탓인지 나는 여전히 물음표를 가지고 살아간다. 쪼아내고 갈고 다듬는 부단한 과정이 더 많이 필요한가 보다. 

 

 

 

사유란 내 손에 쥐어져 있는 정과 망치를 통해 어제까지 내가 알게 모르게 습득한 구태의연함을 쪼아버리는 작업이다. 지금 이 순간에 몰입해 나의 생각을 만질 수 있고 볼 수 있도록 만들어내는 마술이다. 그러면 내가 만들어낼 조각품의 청사진은 무엇인가. 내 손에 들려 있는 정을 부단히 움직이게 하는 그 원동력은 무엇인가.

 

 

나를 더 나은 나로 변화시키는 현장은 내가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직장이며 집이고, 내가 만나는 사람이며 책이다. 그 일상은 때로는 지겹고 귀찮고 피하고 싶기도 하지만 퉁퉁 부은 발을 어루만지는 붓다의 왼손 같은 것이다.

예수는 "천국은 밭에 감추인 보화다"라고 단언한다. 천국은 죽은 다음에 가는 장소가 아니라 바로 여기, 농부가 매일매일 일구는 밭 흙면지를 뒤집어쓰며 잡초를 뽑고 벌레는 잡고 씨를 뿌리고 거두는 그 삶의 터전이다. 다만 감추어져 있어서 그 안에 든 보화를 우리가 모를 뿐이다. 그 보화를 발견하는 훈련이 바로 '생각'이다. 

 

저자는 멀리 가서 찾으라 하지 않는다. 보화는 내 안에 있으니 그것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생각하라고 한다. 사유하라고 한다. 지금 그 자리에서. 

 

내가 배철현교수의 책을 만난건 4년 전쯤이겠다. 그이 책 4권이 내 눈, 내 손, 내 안으로 들어왔다. 심연, 정적, 수련, 승화... 그즈음이었을 거다. 어렴풋하게 명상이란 걸 하기 시작한 것이... 나를 느끼고, 나를 느끼는 나를 보고, 내 안의 깊은 그곳의 나라는 사람이 무얼 생각하고, 무얼 원하는지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잠이 오지 않는 시간, 침대에 누워 눈을 감은채 포근하게 침대에 감싸인 나를 느끼며,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어느새 잠들어 있었다. 아침에 눈을 뜬 후, 바로 잠들었던 나를 행복한 미소로 화답한다. 잘했다고. 그  '들여다봄'의 결과는 아무것도 없었지만, 침대에 편안히 누워 눈 감은 '나'를 느끼는 것만으로도 충만한 기쁨이었다. 어느 날은 새벽 2시, 3시에 눈을 뜬다. 나는 망설임 없이 침대에서 몸을 일으킨다. 책상 앞에 앉아서 매일 아침 내가 하는 루틴을 그 시간에 시작한다. 그리고 신께 감사를 드린다. 오늘은 나에게 주어진 실질적인 시간이 많아졌음에 감사한다고. 이렇게 일찍 눈을 떠 더 많은 것들을 할 수 있음에 감사하다고. 또 어떤 날은 잠에 취해 많은 시간을 잠으로 보내기도 한다. 그런 날도 감사한다. 내 몸이 휴식을 원했고, 난 그 순간 잠들 수 있는 상황을 살아가고 있어서, 또 그 순간 바로 잠들 수 있는 순수한 육체를 가지고 있어서 감사하다고.

 

이것이 지금까지 내가 느낀 나에 대한 명상의 결과물이다. 매일이, 순간이 감사한것들 투성이. 여유로움. 내게 찾아온 불안, 조급함, 초조함(아예 오지 않는 수준까지 이르지는 못했다)을 멀리 떨어진 시선으로 바라보고 그런 감정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제삼자의 시선으로 느낀 후, 조금씩 조금씩 무관심으로 또는 아주 작은 해결책으로 내려놓는 과정을 찾아가게 되었다. 어제보다 조금 더 성숙해진 나에게 감사하면서.

 

내 안의 '보화'는 명사가 아닌 형용사이다. 구체적인 성공의 청사진이 아니라 '나를 관조할 수 있게 된' 것, '지금의 내 감정에 행복을 느끼는'것. '나를 사랑하는', '가족의 소중함을 아는' 그런 것들이다. 그러하니 어쩌면 내 삶의 의미는, 목적은 마찬가지로 구체적인 명사형이 아닌(아마도 명사형을 찾다 보니 답이 안보였을지도 모르겠다) '나를 관조하면서, 내 감정을 온몸으로 느끼면서 가족의 소중함을 느끼면서' 살아가는 형용사형의 삶이 아닐까? 명사가 아닌 형용사로 시선을 바꾸니 내 삶이 구체적으로 보인다. 

 

매일매일 생각의 훈련을 통해, 사유의 시간을 통해 남은 삶을 채워가자. 그리고 내가 알게 된 이런 것들을 조금이라도 펼쳐낼 공간을 찾아보자. 어쩌면 이것이 내게 주어진 소명일수도 있으니. 조급해하지 않는다. 내가 암환자라고 내일 죽는 건 아니니까. 연약한 몸으로 120세까지 살지도 모를 일. 할머니가 되어 이 세상 가장 어두운 곳에 꽃씨를 뿌리고 있을지도 모르니까.

 

                                                                                                                                                                                                                                                                                                                                                                                                                                                                                                                                                                                                                                                                                                                                                                                                                                                                                                                                                                                                                                                                                                                                                                                                                                                                                                                                                                                                                                                                                                                                                                                                                                                                                                                                                                                                                                                                                                                                                                                                                                                                                                                                                                                                                                                                                                                                                                                                                                                                               

'심연, 수련, 정적, 승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연 10  (5) 2024.10.07
심연 9  (9) 2024.10.04
심연 7  (0) 2024.07.25
심연 6  (0) 2024.07.18
심연 5  (1) 2024.07.09